<연합뉴스의 기사 中>
- 최근 언론을 통해서 나온 기사로, 2019년 2분기 우리나라의 고용률이 60.8%로 OECD 국가 중 10위, 30~50클럽(1인당 소득 3만 달러, 인구 5천만 명) 국가 중에서는 2위라는 다소 믿기 어려운 소식을 접했습니다.
기사에서는 15세 이상 고용률과 순위를 적어놓았는데요, 일단 부동의 고용률 1위라는 아이슬란드가 아직 2분기 통계가 나오지 않아서 10위라고 합니다. 그러면 통계가 나오면 11위로 떨어지겠군요.
과연 이 기사가 정확한지 궁금해서, 직접 OECD 홈페이지로 가서 관련 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이것이 실제 OECD에서 발표한 올해 2분기 고용률 통계입니다.
오른쪽 상단에 October 2019, 2nd Quarter 2019 보이시죠?
해당 통계는 15세~64세의 노동인구 고용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한국의 고용률은 66.7%로 오히려 언론에서 보도한 통계보다 더 높은 고용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순위는 아무리 봐도 10위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이것은 남녀 고용률 통계로, 한국은 2분기 기준으로 여성은 57.6%, 남성은 75.5%의 고용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실제 OECD에서 발표한 2분기 순위표입니다.
10위는커녕, 38개국 중 28위로 하위권입니다.
1위 - 아이슬란드(1분기 기준): 85.6&
2위 - 스위스: 80.5%
3위 - 네덜란드: 78.2%
공동 4위 - 뉴질랜드, 일본: 77.6%
6위 - 스웨덴: 77.4%
7위 - 독일: 76.6%
공동 8위 - 영국,체코: 75.1%
10위 - 노르웨이: 75%
11위 - 덴마크: 74.9%
12위 - 에스토니아: 74.7%
13위 - 캐나다: 74.5%
14위 - 호주: 74.2%
15위 - 오스트리아: 73.4%
16위 - 리투아니아: 73%
17위 - 핀란드: 72.7%
18위 - 슬로베니아: 72.3%
19위 - 라트비아: 72%
G7 평균: 71.8%
20위 - 미국: 71.5%
21위 - 포르투갈: 70.2%
22위 - 헝가리: 70%
23위 - 아일랜드: 69.2%
유럽연합 평균: 69.2%
24위 - 이스라엘: 69%
OECD 평균: 68.7%
25위 - 룩셈부르크: 68.5%
26위 - 슬로바키아: 68.2%
27위 - 폴란드: 68%
28위 - 한국: 66.7%
29위 - 벨기에: 65.6%
30위 - 프랑스: 65.5%
31위 - 콜롬비아: 65%
32위 - 스페인: 63.3%
33위 - 칠레: 62.4%
34위 - 멕시코: 62.2%
35위 - 이탈리아: 59%
36위 - 그리스: 56.5%
37위 - 터키: 50%
38위 - 남아프리카 공화국: 42.6%
언론이 무슨 기준으로 저렇게 순위를 매긴 것인지 모르겠으나, 현실은 이렇습니다.
물론 66.7%라는 고용률이 의미 없는 순위는 아닙니다만, 좀 더 분발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