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숙청 9,000건] 충격 정보...공개 처형과 연관되었는가?>
[고영기(高英起, 1966~) 데일리NK 재팬 편집장/ 저널리스트, 재일한국인 2세]
- 한국의 뉴스 사이트, 리버티코리아포스트(LKP)는 10월 28일 북한 내에서는 올해 9월까지 [반(反)국가 범죄] 수사가 9천 건 가까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반국가 범죄의 용의자는 거의 틀림없이 어떤 형태로든 숙청된다. 1건당 몇 명이 숙청 대상이 되기도 한다.
LKP는 8월 현재, 평양에서는 비밀경찰인 국가보위성과 보위사령부가 1,200여 명의 집행 간부를 구속하고 반국가 행위 혐의로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또, 구속된 용의자의 급증에 따른 격리 감방이 부족해서 평양역 근처에 있는 호위사령부 81여단 6대대 병사를 보위사령부로 이관하는 조치도 취했다고 했다.
여성 연예인의 [처형 견학]
이런 움직임이 평양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인가?
LKP의 정보가 사실이라면 1990년대의 [심화조 사건 1]과 [프룬제 군사대학 쿠데타 모의 사건 2], 2013년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 일파 숙청 사건]과 함께 대대적인 숙청이 진행되었다.
이들 중에서도 2만 5천 명이 희생되었다는 심화조 사건은 시대적 배경이 현재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 이 사건은 당시 [고난의 행군]으로 불린 미증유의 식량 위기 속에서 민중의 불만이 체제로 가지 않게 하려고 당시 김정일(1941~2011) 국방위원장이 만들어낸 대규모 간첩사건이다.
<살기 위해선 미친 듯이 열광해야 한다. 아니면 각 잡고 서 있든가>
한편 식량 위기로 인해 범죄가 자주 일어나 나라 전체가 혼란에 빠진 이 시대, 북한 각지에서 공개처형이 반복되었는데 이유는 지극히 간단하다. 본보기 때문이다. 혼란한 상황 속에서 범죄자를 잔인하게 살해함으로써 공포를 주고 질서의 유지를 도모한다는, [사형에는 범죄 억제 효과가 있다]라고 생각하며 기초한 행위이다.
가장 최근에는 국제사회로부터의 인권문제에 대한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과거에는 공개로 하던 처형을 비공개로 시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김정은 당 위원장은 2016년 전국의 사법 기관에 군중을 모아 사형을 시행하는 [공개 총살]을 금지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후 공개처형은 자취를 감추고 있었는데, 북한 당국은 최근 들어 재개시키고 있는 것 같다.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궁금한 것은 경제 제재의 영향이다. 경제난으로 인한 사회의 동요가 김정은 체제를 뿌리째 흔들 위험성을 느꼈기 때문이 아닐까?
이러한 1990년대와 현재의 일치점을 볼 때 LKP의 정보를 그냥 지나칠 수 없다. 그리고 김정은은 자신이 마음에 들지 않는 부하들을 잔혹하게 처형시킬 때 그 모습을 여자 연예인들에게 억지로 [견학] 시킨 [전과]가 있는 주인이라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