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19/09/17 6

오늘의 역사 : <9월 18일> 1996년 9월 18일 - 북한 잠수함 발견,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은 강원도 강릉시 인근에서 한국으로 침투했던 공작원을 회수하러 온 북한의 특수 잠수함(상어급 잠수함)이 좌초, 귀국 수단을 잃은 선원과 공작원 총 26명이 한국 내 도망 및 잠복한 사건이다.사건은 1996년 9월 18일에 발각되면서 한국 측은 군경을 동원한 소탕 작전을 개시했으며, 1996년 11월 7일에 소탕 작전은 종료되었다. 북측의 피해는 체포 1명, 사살 13명, 집단 자결 11명, 행방불명 1명으로 알려졌다. 한국 측의 피해로는 군인 12명(사고사 4명 포함), 경찰관 1명(사고사), 민간인 4명(사고사 1명 포함)으로 총 17명이 숨지고 1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당국은 좌초한 잠수함에서 RPG-7, M16, AK-47, 대전차 수류탄 등의 화기류와 지도, 정찰..

오늘의 역사 2019.09.17

2019년 9월 18일, 띠별(십이지) 오늘의 운세

언제나 방문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해당 운세영상은 제가 직접 제작하고 관리하는 콘텐츠 중 하나입니다.앞으로도 매일 오늘의 운세를 제공, 여러분에게 흥미를 드릴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빠르기는 바람과 같고, 느리기는 숲과 같으며, 공격할 때는 불과 같고, 움직이지 않기는 산과 같으며, 알기 어렵기는 그늘과 같고 움직임은 천둥과 같아야 한다.- 손자 -

카테고리 없음 2019.09.17

크리스찬 베일과 맷 데이먼이 뭉쳤다! <포드 V 페라리 (2019)> 2차 예고편 - 원본+거꾸로(역재생)

- 《포드 V 페라리(Ford V Ferrari)》는 제임스 맨골드 감독의 2019년 액션, 전기 드라마 영화이다. 크리스찬 베일, 맷 데이먼 등이 출연한다. 2019 텔류라이드 영화제에서 전 세계 최초로 상영되었다. - 개봉일: 2019년 11월 15일 (미국)- 감독: 제임스 맨골드- 제작비: 9800만 달러- 작곡가: 마르코 벨트라미- 각본: 제임스 맨골드, 존 헨리 버터워스, 제즈 버터워스, 제이슨 켈러- 출연진: 맷 데이먼, 크리스찬 베일, 존 번설 등

카테고리 없음 2019.09.17

FC 포르투의 나카지마 쇼야, <감독에게 대놓고 욕먹는 장면이 생중계로?!> - 부들부들 일본 반응

9월16일(월), 사커 다이제스트[축구를 이해하지 못한다] - 현지 시각 9월 15일, 포르투갈 리그의 제5 라운드가 열렸고 포르투가 포르티모넨스를 3-2로 꺾었다. 포르투의 나카지마 쇼야가 72분 교체 출전, 포르티모넨스의 안자이 코키가 선발로 그라운드를 밟았고 같은 도쿄 베르디 유스 출신의 일본인 대결이 실현되었다.경기는 포르투가 2점을 앞섰지만 72분, 77분 연거푸 실점하며 동점을 허용한다. 그러나 2-2이던 후반 인저리 타임 때 결승골을 기록, 어떻게든 승점 3점을 차지했다.그 극적인 결과만큼이나 현지에서 화제를 모은 것은 경기 후의 장면이었다. 포르투의 세르지우 콘세이상 감독이 나카지마에게 접근하면서 무엇인가 강한 어조로 다가서는 것 같은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를 본 미드필더 오타비오가 끼어..

카테고리 없음 2019.09.17

오늘의 역사 : <9월 17일> 1988년 9월 17일 - <1988 서울 올림픽 개최>

- 어느덧, 1988년 서울 올림픽이 개최된 지 내일로 꼭 31주년이 됩니다. 이 올림픽을 통해서 한국은 변방의 이름없는 나라에서, 세계무대에 본격적으로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을 알리게 됩니다. 6.25로 잿더미와 폐허 속에 신음하던 나라가 이렇게 말끔하게 중진국으로 변신한 모습에 세계인들이(특히 동구권 국가) 꽤 놀라워했다는 이야기는 지금도 회자하고 있습니다.이번 시간에는 한국에 부정적인 내용이 상당히 많은 일본 위키에서 서울 올림픽을 어떠한 내용으로 다루었는지 한번, 번역을 해보았습니다. 다름 아닌 1988년 올림픽 개최지를 놓고 끝까지 경쟁을 펼친 나라가 바로 일본이었던 건 워낙 유명하니 잘 아실 겁니다(일명, 바덴바덴의 기적).혹여 부정적인 내용이 나와도 너무 불쾌해 하지 마시고, 그냥 [이 녀석..

오늘의 역사 2019.09.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