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 <10월 13일> 1773년 10월 13일 - 샤를 메시에, <소용돌이 은하 발견>

!@#^& 2019. 10. 12. 22:54


- 소용돌이 은하(Whirlpool Galaxy, M51, NGC5194)사냥개자리(Canes Venatici)에 있는 나선 은하로, 직경 약 10만광년이다. 

바로 옆에는 자그마한 동반 은하(NGC 5195 = M51b)도 존재한다.


[기본 정보]

- M51: 소용돌이 은하

- 임시 부호·일명: NGC 5194, M51

- 겉보기 등급[각주:1](V): 8.36

- 시직경[각주:2]: '8.217×'5.587


- 분류: SA(s)bc(나선 은하)

- 발견자: 샤를 메시에

- 역기점[각주:3]: J2000.0

- 적경(RA, α): 13h 29m 52.698s


- 적위[각주:4](Dec, δ): +47°11'42.93''

- 적색편이[각주:5]: 0.00155

- 시선속도[각주:6](Rv): 465±61km/s

- 연주 시차[각주:7]): 7.8

- 거리: 2300±400만 광년 (7.1±1.2 Mpc)


<1845년, 천문학자인 로스 백작 윌리엄 파슨스(William Parsons, 3rd Earl of Rosse, 1800~1867)가 관측하고 그린 M51의 선묘화>


소용돌이 은하는 1773년 10월 13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 1730~1817)가 발견했다. 당시 그는 [별은 없고 매우 희미하다]라고 기록했으며, 동반 은하는 마찬가지로 프랑스의 천문학자였던 피에르 메샹(Pierre François André Méchain, 1744~1804)1781년 3월 21일에 발견한다.

메시에는 1781년에 발간한 카탈로그에서 [이중으로 그 모두가 잘 빛나는 중심부를 갖고있으며, 양측은 4'35" 떠나있다. 두 '대기'는 맞닿기 때문에 어느 한쪽은 어둡다]라고 적고 있다. 

같은해, 독일의 천문학자인 요한 엘레르트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작고 희미하게 빛난다. 아마도 타원일것]이라고 기록했으며 영국의 천문작자 존 허셜(Sir John Herschel, 1st Baronet, 1792~1871)[우리 세계와 같다. 둘러싸인 무리는 은하계를 표현한다]라고 평했다.


 <소용돌이 은하를 처음으로 발견한,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


이 은하는 은하의 나선 구조1845년에 처음 관측된 은하이며, 로스 경에 의한 관측 스케치가 남아 있다. [소용돌이 모양, 고배율로는 한층 복잡한 구조를 알 수 있다. 큰것작은것연결돼 있음이 틀림없다. 가장 희귀한 나선 은하일것이다], 1861년에는 [바깥의 은 소용돌이가 왼쪽으로 감긴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라고 적고 있으며, 천문학자 웹은 [로스 경의 경이로운 소용돌이 성운, 이 광륜(光輪)은 뛰어난 기기가 아니면 안된다. 이 어울리지 않는 한 쌍은 좋은 대조를 나타낸다. 큰 쪽의 광륜은 추적할 수 있는데, 9.3인치에서 소용돌이의 끝을 알 수 있다. 파인더에서는 신비로운 광반이다] 曰,

 프랑스 천문학자 카밀 플라마리옹(Nicolas Camille Flammarion, 1842~1925) [잘 눈에 뜨이는 이중성운으로 각각 중심부가 잘 빛나고 명료하다, 서로의 연락 장소는 확실하다]라고 했다.

소용돌이 은하는 밝은 은하로, 쌍안경으로도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아마추어 천문가에도 인기가 높으며 구경 10cm정도의 망원경으로도 보인다는 사람도 있다. 

조건이 좋으면 구경 8cm 정도의 망원경으로도 은하의 나선을 볼 수 있다는 사람도 있다.



[은하군]

M51은하군은 M51과 M63을 포함한 은하군으로, 지구에서 약 37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이 M51은하군에는 이하의 은하가 포함된다

- NGC 5023

- UGC 8313

- UGC 8331

- M63

- 소용돌이 은하(M51A, NGC5194)와 동반 은하(M51B, NGC5195)

- NGC 5229

- UGC 8683




  1.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로, 천문학자 히파르코스(Ἵππαρχος, 기원전 190~120년)가 눈으로 보았을 때 가장 밝은 별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을 6등급으로 해서 구분한 것이 시초이다. [본문으로]
  2. 시직경(Apparent diameter), 시지름, 또는 각지름(Angular diameter)은 대부분 지구의 관측자가 본 천체의 겉보기 지름을 뜻하며, 각의 단위인 도(°), 분('), 초(″)로 나타낸다. [본문으로]
  3. 역기점(曆起點)은 천문학에서 천체의 궤도 요소의 기준이 되는, 관측 또는 예측이 시행한 시기를 말한다. [본문으로]
  4. 적경과 마찬가지다. [본문으로]
  5. 적색편이(赤色偏移, 영어: redshift 레드시프트)는 물체가 내는 빛의 파장이 늘어나 보이는 현상이다. [본문으로]
  6. 시선속도(視線速度)란 어떤 물체의 시선 방향으로의 속도로 즉, 관측자 쪽으로 일직선 방향으로 다가오거나 멀어지는 속도이다. [본문으로]
  7. 연주 시차(年周視差, 영어: parallax)는 어떤 천체를 바라보았을 때 지구의 공전에 따라 생기는 시차를 뜻하며, 지구 공전의 결정적 증거다. [본문으로]
반응형